Home 겨우살이 효능 6가지와 부작용 및 겨우살이차 음용
믹스테일

겨우살이 효능 6가지와 부작용 및 겨우살이차 음용

식물 최근 수정 : 2023-03-24

겨우살이란?
겨우살이의 부작용
겨우살이의 효능
겨우살이 VS 호랑가시나무
사용 및 복용법

서양권에서 겨우살이는 화이트 크리스마스의 대표적인 장식물 가운데 하나이지만, 동양권에서는 이미 수백 년 동안 약초로 사용되어왔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겨우살이에는 약 100가지 이상의 다른 종이 존재하는데, 이 중 한가지 종이 장식용으로 사용되며, 일부 종은 약용으로 수확됩니다. 건강 증진 및 일반적인 질병 예방과 관련하여 겨우살이는 특히 발작, 두통, 관절염, 암과 같은 질병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1]

이 글에서는 겨우살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더불어 대표적인 6가지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사용법 및 복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겨우살이란?

겨우살이는 겨우살이과 식물과의 일원으로, 나무에 달라붙어 먹고 사는 기생식물입니다. 주로 열매, 잎 및 줄기를 수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약초학자들은 특정 생리적 효과가 있는 약초 추출물을 만드는 데 겨우살이를 사용합니다. 보충제 및 약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겨우살이 식물은 주로 사과나무, 참나무, 소나무 및 느릅나무와 같은 일반적인 나무 근처에서 자라며, 종종 덤불과 같은 모양을 형성합니다.

겨우살이 효능 6가지와 부작용 및 겨우살이차 음용

유형

겨우살이 식물은 유럽, 미국, 아시아 및 아프리카 전역을 비롯해 호주 및 뉴질랜드에도 분포합니다.[2] 이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겨우살이 종은 비스쿰, 포라덴드론, 페락실라, 로란투스, 아밀로테카 등이 있습니다.

이 중 포라덴드론 종은 미국 겨우살이라고도 불리는데 겨울 내내 낭만적인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사용되는 반면 유럽 겨우살이인 비스쿰 종은 수세기 동안 전통 약초로 사용된 종입니다.

또 로란투스 종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품종이지만, 주로 고혈압과 위장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자라는 종들은 대체로 항균 및 항산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3]

전통 의학에서의 사용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겨우살이는 대부분 신경계 치료에 중점을 두고 사용되어 왔는데, 주로 다음과 같은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신경질/불안(때때로 쥐오줌풀 뿌리와 함께 사용)
  • 경련
  • 히스테리
  • 신경통
  • 피부 문제
  • 비뇨기 질환
  • 발열
  • 심장 질환

일부 전통 의학에서는 심장 박동의 힘을 강화하고 심박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천연 심장 강장제로 여겨졌습니다. 특히 겨우살이, 쥐오줌풀을 포함하는 약초 처방은 종종 호르몬 불균형, 피로 등으로 인한 모든 종류의 신경 증상에 사용되었습니다.

겨우살이를 자연 요법으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겨우살이 차를 만들어 마시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 다른 용도는 염증 및 궤양과 같은 피부 문제에 대한 연고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서양권에서의 인식

서양권에서 겨우살이는 오랫동안 평화, 로맨스, 그리고 축하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습니다. 실제로 오늘날의 겨우살이는 크리스마스에 사랑과 우정의 표시로 미국에서 자주 사용되기도 합니다.

또 기록에 따르면, 겨우살이는 17세기와 18세기에 고대 북유럽 신화 시대에 처음으로 로맨스의 상징이 되었다고 전해지며, 이후로 겨우살이 밑에서 키스하는 관습이 영국 전역으로 퍼진 바 있다고 합니다. 특히 이 때 상대방의 키스를 거부하는 것은, 열매를 잃은 겨우살이처럼 불운해진다고 여겨졌습니다.[4]

이외에도 겨우살이는 오랫동안 불행, 질병, 그리고 폭력으로부터 보호의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또 일부는 천연 최음 성분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때때로 다산을 촉진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겨우살이의 부작용

겨우살이는 때때로 숙주가 되는 나무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부정적인 평판을 갖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아예 겨우살이를 기생충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5] 특히 국제 허브 예술과학 아카데미는 겨우살이가 나무의 안쪽 나무에 뿌리를 내리고 그 수액을 먹기 때문에, 겨우살이가 만연하면 숙주 식물의 가지나 심지어 숙주 전체가 죽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6]

기술적으로 겨우살이는 반기생체입니다. 즉, 광합성을 통해 일부 에너지를 얻고 나머지는 다른 나무와 식물에서 에너지를 추출합니다. 겨우살이는 때때로 나무를 죽일 수도 있지만, 새에게 먹이를 제공하고 둥지를 틀기에 유용한 빽빽한 잎을 제공합니다. 사실, 겨우살이가 자라는 숲은 이 식물 다발을 먹고 자랄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올빼미와 울새, 박새, 파랑새, 애도비둘기 등 다양한 새들의 서식지로 밝혀지기도 하였습니다.

인간이 겨우살이를 섭취할 때 겨우살이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해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을까요? 숙주 나무를 죽일 수도 있는 겨우살이는 과연 인간에게도 해로운 물질인가요?

  • 열매와 잎을 포함한 식물 일부를 섭취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식물로 만든 겨우살이 차를 너무 많이 마시면 중독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겨우살이에서 발견되는 독성 성분은 포라톡신으로, 일반적으로 잎을 섭취한 후 1~3일 동안 발생하는 증상이 가장 흔합니다.
  • 주사와 관련된 잠재적인 부작용도 있습니다. 겨우살이 추출물 주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는 통증, 주사 부위의 염증, 두통, 발열, 오한, 피부 발진 등이 있으며, 드물게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겨우살이를 장기간 사용 시, 구토, 설사, 경련, 간 손상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겨우살이는 대체로 소량씩 섭취하는 것이 안전하며, 많은 양을 섭취할 때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겨우살이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2018년 발표된 성명서에 따르면, 겨우살이 추출물을 사용하면 거의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7]

일부 연구에서는 겨우살이가 암 환자의 생존 또는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임상시험에서는 연구 결과에 대해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주요 약점이 있다고 말합니다.

미국 암 연구소는 진행성 암 환자에게 항암제와 함께 주입된 유럽 겨우살이 추출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예비 시험을 완료한 바 있는데, 여기서 환자들은 대부분 겨우살이 약초 및 약물 조합을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직까지는 겨우살이가 안전하다고 확신하는 연구 결과가 없고, 오히려 유산 위험을 증가시키는 자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에 임신 중에는 겨우살이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8] 또한 자가 면역 질환이 있는 사람은 면역 체계가 더 활성화될 수 있으며, 당뇨병이나 심장 질환 및 고혈압 치료를 받는 사람은 포도당과 혈당 수치에 영향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겨우살이를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겨우살이

겨우살이의 효능

연구 결과, 다양한 겨우살이 종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자유 라디칼 소거 항산화제, 항균 및 항염증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9]

  • 플라보노이드
  • 알칼로이드
  • 렉틴
  • 폴리펩티드
  • 아르기닌
  • 다당류
  • 탄닌
  • 테르페노이드 및 스테로이드
  • 산성 화합물
  • 배당체
  • 갈산

이러한 보호 화합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겨우살이는 다음과 같은 효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잠재적으로 암에 효능이 존재합니다.

오늘날, 겨우살이 추출물은 독일 및 일부 다른 유럽 국가에서 가장 자주 처방되는 비전통적인 암 치료법이며, 대부분의 경우 암에 대한 처방약으로 판매됩니다.[10] 단, 1920년대부터 유럽에서 사용되었지만 미국 식품의약국은 암을 포함한 어떤 상태의 치료제로도 이를 승인하지 않았습니다.

겨우살이는 특정 연구에서 면역 체계를 자극하고 특정 암세포를 죽이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대부분 인간이 아닌 시험관에서 관찰되었습니다.

또 다수의 체외 연구에서는 겨우살이에 면역 자극, 세포독성 및 세포사멸 유발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거의 모든 연구에는 연구자들이 연구의 신뢰성에 의문을 갖게 만드는 최소한 한 가지 주요 약점이 있었습니다. 한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실험이 겨우살이가 암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전혀 보여주지 않았다라고 결론을 내리기도 했습니다.[11]

유럽 겨우살이 추출물을 투여하면 유방암, 진행성 췌장암, 대장암, 방광암(특히 재발성 방광암 환자의 경우), 위암, 간암, 폐암, 난소암, 자궁암 등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12]

2020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겨우살이 추출물이 암환자의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13] 그러나 또 다른 2019년의 연구에서는 암에서 회복 중인 사람들의 삶에 겨우살이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고 발표한 바 있기도 합니다.[14]

2. 심혈관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겨우살이 품종 가운데 특히 로란투스 종은 고혈압과 위장 장애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가 존재합니다. 이러한 유형은 고혈압 및 죽상동맥경화증을 포함한 혈관 상태의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2011년 생화학 연구 국제에 발표된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심장 질환을 잠재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항고혈압, 항동맥경화 및 혈관 이완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습니다.[15] 그러나 연구 결과는 전반적으로 혼합되어 있으며, 오히려 일부는 특정 환자의 심장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합니다.

3. 피부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겨우살이 가지는 목욕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맥류, 다리 궤양, 그리고 습진을 치료하기 위해 피부에 바를 수도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또한 이 식물이 진통제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피부에 문지르면 관절통(류마티스 및 신경통)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4. 우울증과 불안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겨우살이는 특히 암 치료와 관련된 경우 우울증, 불안, 피로 등의 기분 관련 증상에 대한 유망한 대체 요법으로 손꼽힙니다.

다양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겨우살이는 암 환자와 생존자 모두의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능이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16][17]

5. 호르몬 균형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겨우살이는 피로 및 수면 장애와 같은 갱년기 증상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며, 여성이 생리 불규칙할 때 호르몬을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골다공증을 앓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폐경 후 여성의 경우, 약한 뼈와 골절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18]

6. 감기, 기침 및 천식 완화에 효능이 있습니다.

겨우살이가 호흡기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관찰한 연구는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겨우살이 식물 종은 항산화, 진통, 항염증 및 면역 자극 특성을 발휘하여 질병과 감염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겨우살이 보충제가 감기, 인후통, 발열, 기침 및 천식과 같은 호흡기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확실한 연구 결과는 아직 없습니다.

호흡기 문제와 감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겨우살이 잔가지를 사용하여 허브차를 만들거나 흡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겨우살이 VS 호랑가시나무

  • 호랑가시나무는 특정 종의 겨우살이와 마찬가지로 겨울, 특히 크리스마스 기간에 장식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식물입니다. 이 두 식물은 일반적으로 함께 사용되지만 생김새가 닮지 않거나 화학적 특성이 동일하지 않습니다.
  • 호랑가시나무의 잎은 약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열매는 먹으면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독성이 존재합니다.
  • 호랑가시나무가 치료에 효능이 있다고 하는 일부 상태에는 기침, 소화기 장애, 황달, 발열, 관절통, 부기, 수분 저류, 심장병 및 고혈압이 포함됩니다.
  • 호랑가시나무는 전통적으로 구토를 유발하고 혈압을 변화시킬 수 있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심장 강장제 및 소화 세척제로 섭취됩니다.

겨우살이 장식

사용 및 복용법

겨우살이 차

겨우살이는 일단 건조된 후 추출물로 만들어지면 주사제나 캡슐, 보충제 형태로 섭취할 수 있으며, 마른 허브나 가지로 판매되는 것은 집에서 겨우살이 차를 만들어 음용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매우 뜨거운 물을 사용하면 겨우살이에서 발견되는 일부 화합물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겨우살이 차는 항상 찬물에 우려내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 녹차를 끓이는 것처럼 뜨겁지만 끓지 않는 물로 겨우살이 차를 만드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제품이 다양하기 때문에 겨우살이 허브를 구입할 때는 항상 지침을 주의 깊게 읽으시기 바랍니다. 겨우살이는 다른 약물과 많은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특히 고혈압 치료제와 함께 복용하는 경우 먼저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권장 복용량:

  • 일부 약초학자들은 하루에 1~2밀리리터의 추출물만 사용합니다. 또 일부 의사들은 1밀리리터의 추출물을 보완적인 암 치료제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일주일에 여러 번 0.1~30mg의 용량으로 정맥주사 또는 피하주사로 투여됩니다.[19]
  • 고혈압 치료용으로 겨우살이 차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허브 잎은 하루 10g을 권장합니다.

겨우살이 주사

겨우살이 주사의 효과는 사용되는 추출물의 정확한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추출물의 품질에는 숙주 나무의 유형, 정확한 종, 추출 방법 및 식물을 수확하는 시기 등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품은 상당히 다를 수 있습니다.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수성 용액(물과 알코올로 만들어짐)으로 만들어지며, 제품은 때로 식물이 자라는 나무의 유형에 따라 이름이 지정됩니다.

피부 아래에 투여하는 겨우살이 주사는 현재 미국에서 임상 시험용으로만 승인되어 있습니다. 반면 유럽 국가에서는 현재 여러 브랜드의 추출물 및 주사제가 처방 가능합니다. 이스카도르, 유리소르, 헬릭서, 이소렐, 바이소렐 등이 대표적입니다.

요약

  • 겨우살이는 겨우살이과 식물과의 일원이며 상록 반기생 식물로 간주됩니다. 주사제를 포함한 약초 추출물과 의약품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 전 세계적으로 100종이 넘는 종이 자랍니다. 미국 겨우살이는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사용되며 유럽 겨우살이는 전통 약초에서 수세기 동안 사용되어 온 품종입니다.
  • 잠재적으로 암에 대한 도움, 심혈관 건강 개선, 피부 상태 관리, 우울증/불안 완화, 호르몬 균형 조정, 감기/발열/호흡기 문제 퇴치 등의 겨우살이 효능이 존재합니다.
  •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내약성이 우수하지만 발열, 오한, 피부 발진, 설사, 두통 및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출처

  1. https://www.nccih.nih.gov/health/european-mistletoe
  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09578/
  3. https://www.ncbi.nlm.nih.gov/pubmed/2776238
  4. https://www.foxnews.com/real-estate/why-kiss-under-the-mistletoe-the-stories-behind-christmas-traditions
  5. https://www.smithsonianmag.com/science-nature/poop-tree-parasite-mistletoe-180967621/
  6. https://theherbalacademy.com/the-medicinal-mistletoe/
  7.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65978/
  8. https://www.webmd.com/vitamins/ai/ingredientmono-917/european-mistletoe
  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379471/
  10. https://pubmed.ncbi.nlm.nih.gov/32211937/
  11. https://pubmed.ncbi.nlm.nih.gov/30673873/
  12. https://pubmed.ncbi.nlm.nih.gov/33622211/
  1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70416/
  14. https://pubmed.ncbi.nlm.nih.gov/30673872/
  15. https://pubmed.ncbi.nlm.nih.gov/21918720/
  1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860234/
  1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50471/
  1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909578/
  19. https://www.drugs.com/npc/mistletoe.html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