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림 치즈는 베이글과 아침 식사용 스프레드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다양한 요리에 사용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재료입니다. 특히 크림 치즈는 몇 가지 주요 비타민과 미네랄을 제공하여 영양가가 높은 한편 유당이 적고 비타민 A, 항산화제 및 유익한 박테리아 균주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크림 치즈의 장단점과 더불어 이 맛있는 재료를 집에서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크림 치즈란?
크림 치즈는 베이글, 샌드위치 및 랩용 스프레드로 자주 사용되는 부드러운 유형의 치즈입니다. 수프, 구운 식품 및 팬케이크와 같은 다른 레시피에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크림에 젖산을 첨가하면 pH가 낮아져 크림이 응고되어 커드와 유청으로 분리됩니다. 그런 다음 유청 단백질을 걸러내고 응유를 가열한 다음 안정제와 같은 다른 성분을 첨가하면 크림 치즈가 완성됩니다. 최종 제품의 질감과 견고함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응고 효소도 때때로 사용됩니다.
전통적인 크림 치즈 제조법에서는 우유, 크림 또는 이 둘의 조합을 사용하지만, 유제품이 아닌 우유 또는 요구르트로 만든 비건 크림 치즈와 같은 다른 종류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크림 치즈의 칼로리와 영양 성분
크림 치즈의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 함량은 선택한 품종에 따라 상당히 다릅니다. 예를 들어, 가벼운 크림 치즈의 영양 정보는 전지 크림 치즈의 영양 정보와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
물론 휘핑 크림 치즈든, 무지방 크림 치즈든 대부분의 크림 치즈는 칼로리가 높은 편이며 탄수화물이 적습니다. 또 비타민 A, 인, 칼슘과 같은 특정 미량 영양 성분도 소량 포함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크림 치즈 30g(2 테이블스푼)에는 다음과 같은 영양소가 들어 있습니다.[1]
- 열량: 96 칼로리
- 탄수화물: 1g
- 단백질: 1.5g
- 지방: 9.5g
- 비타민 A: 354 RAE (하루 섭취량의 7%)
- 인: 29.7mg (하루 섭취량의 3%)
- 칼슘: 27.4mg (하루 섭취량의 3%)
이외에도 크림 치즈에는 소량의 리보플라빈, 판토텐산, 비타민 E, 비타민 K 및 엽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크림 치즈의 건강상 장점
1. 낮은 유당
유당 불내증은 전 세계 인구의 약 65%에 영향을 미칩니다.[2] 유당 불내증의 증상은 우유, 요구르트 및 아이스크림을 비롯한 대부분의 유제품에서 발견되는 유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며, 설사, 경련 및 팽창과 같은 소화 문제를 일으킵니다.
크림 치즈는 유당이 매우 적고 유당 불내증이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견딜 수 있습니다. 특정 브랜드는 또한 소화를 돕기 위해 락타아제 효소를 첨가하여 유당이 없는 품종을 생산합니다.
2. 비타민 A 함량이 높음
크림 치즈에는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지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A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비타민 A는 건강에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 A는 특히 면역 기능에 중요하며, 질병과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세포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3] 또한 건강한 시력 증진에도 관여합니다. 참고로 비타민 A가 결핍하게 되면 야맹증, 시력 손상, 심지어 실명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4]
3. 장 건강 지원
생산 중에 최종 제품의 질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박테리아 균주, 예를 들어 젖산 균주가 추가됩니다. 이러한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유익한 박테리아 균주)로도 알려져 있으며, 장 건강을 지원하고 염증을 줄이며 영양소 흡수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5]
그러나 모든 제품이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많은 제품이 열로 처리되어 박테리아가 파괴될 수 있음을 명심하세요.
4. 항산화제 제공
크림 치즈는 여러 항산화제와 카로티노이드를 포함하고 있어, 유해한 자유 라디칼을 중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 산화 스트레스와 세포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산화 방지제는 건강과 질병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일부 연구에서는 산화 방지제가 암, 당뇨병, 자가면역 질환, 심장 질환뿐만 아니라 염증에 대한 보호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6]
5. 다양하고 맛있는 슈미어 활용법
크리미하고 풍부하며 풍미가 가득한 슈미어를 단순히 베이글에 바른 것 이상으로 식단에 포함시키는 방법은 무수히 많습니다. 이 맛있는 재료는 달콤하고 짭짤한 요리에 똑같이 작용하며, 소스, 수프 및 구운 식품의 질감을 높이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으깬 감자나 파스타 요리, 과일 타르트 또는 비스킷에 첨가하여 좋아하는 음식의 풍미를 쉽게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딜, 마늘, 골파와 같은 향신료 및 조미료와 함께 섞어 간단한 야채 딥을 만들어도 맛있습니다.
잠재적 단점
크림 치즈 칼로리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에 비해, 이 인기 있는 제품은 상대적으로 단백질과 비타민 및 미네랄과 같은 기타 중요한 영양소가 적습니다.
우유 및 치즈와 같은 다른 유제품은 단백질 함량이 훨씬 높으며, 일반적으로 인, 칼슘 및 비타민 D와 같은 다양한 영양소를 자랑합니다. 반면에 저지방 크림 치즈의 영양 성분에는 서빙 당 2g 미만의 단백질 및 소량의 미량 영양소인 비타민 A가 포함됩니다.
또한 크림 치즈는 다른 유형의 치즈에 비해 유통 기한이 상대적으로 짧아 개봉 후 2주 이내에 소비해야 합니다. 유통기한이 지나면 곰팡이를 비롯해 울퉁불퉁한 질감, 신맛이나 냄새가 날 수 있으며 즉시 폐기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크림 치즈는 특정한 식이 제한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당이 적지만 유제품에 알레르기가 있거나 유제품이 없는 식단을 따르는 사람들은 섭취해서는 안 됩니다.
크림 치즈 만들기, 요리 활용
크림 치즈는 대부분의 주요 식료품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종종 다양한 맛과 종류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유가 있다면 집에서 직접 만들어 좋아하는 요리에 건강을 더할 수도 있습니다. 생우유로 크림 치즈를 만드는 방법, 요구르트로 크림 치즈를 만드는 방법, 직접 만든 크림 치즈를 헤비 크림으로 휘젓는 방법 등 크림 치즈를 만드는 방법은 꽤 다양합니다.
상업용 크림 치즈는 박테리아 배양 방식으로 제조되지만 집에서는 레몬 주스와 같은 산을 사용하여 크림을 응고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런 다음 좋아하는 향신료를 믹스에 추가하여 풍미를 향상시킵니다.
베이킹이나 요리에 크림 치즈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특히 수프, 소스, 쿠키, 타르트, 팬케이크, 샌드위치, 랩에 잘 어울립니다. 물론 부드러운 크림 치즈의 가장 보편적인 용도는 톡 쏘는 맛과 크리미한 질감으로 유명한 디저트인 치즈케이크입니다. 이 디저트의 칼로리를 줄이고 단백질 함량을 늘리기 위해 기존 치즈 대신 크림 치즈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 치즈 케이크에 크림 치즈를 전부 사용하는 대신, 약간의 리코타 치즈, 그릭 요거트 또는 코티지 치즈 영양제와 혼합하면 상대적으로 건강에 유익할 수 있습니다. 이 맛있는 유제품을 사용하는 몇 가지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크림 치즈 프로스팅
- 비건 크림 치즈
- 고지방 저탄수화물 팬케이크
- 그릭 요거트 치즈케이크
- 크림 치즈를 곁들인 베이글
요약
- 크림 치즈는 크림을 응고, 여과 및 특정 효소 및 첨가제로 처리하여 만든 부드러운 치즈의 한 유형입니다.
- 100g당 크림 치즈의 영양 성분은 특정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품종은 칼로리가 높고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적습니다.
- 유당이 적고 비타민 A, 항산화제 및 장 건강에 도움이 되는 유익한 박테리아 균주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크림 치즈는 칼로리가 높고 미량 영양소가 적습니다. 또한 유통기한이 짧고 특정 식이 제한이 있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출처
- https://fdc.nal.usda.gov/fdc-app.html#/food-details/173418/nutrients
-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32285/
-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162863/
- https://www.ncbi.nlm.nih.gov/pubmed/3303134
-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045285/
-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614697/